Exam0240 - 메서드 : 개념 및 기본 문법 IV package bitcamp.ex07; //# 메서드 : 개념 및 기본 문법 IV // public class Exam0240 { // 4) 메서드 : 리턴값(O), 파라미터(O) // => "이 돈 갖고 과자좀 사와!" static String hello(String name, int age) { String retVal = String.format("%d살 %s님을 환영합니다!", age, name); return retVa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hello() 메서드를 실행하고, 그 리턴 값을 변수에 담는다. String r = hello("홍길동", 20); System.out.p..
Exam0140 - 흐름 제어문 : if ~ else 문 package com.eomcs.lang.ex06; //# 흐름 제어문 - if ~ else 문 // public class Exam014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ge = 17; // if 문은 else 문 없이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if (age = 19) System.out.println("성년입니다.1"); // else문을 사용하는 아주 모범적인 예! if (age >= 19) // 조건이 거짓이면 다음 else 문을 실행한다. System.out.println("성인입니다.2"); els..
* assignment oprator i = 7; j = i++ i = ? j = ? l-value = r - value; ② ① 변수 리터럴,변수,표현식 실행순서) compile 예 j = i ++; → int temp = i; i = i+1; j = temp; 항상 assignment는 ① 우측의 연산이 끝난 뒤에 ② 좌측의 연산을 수행한다. 때문에 후위연산자는 i의 값을 규정해준 뒤에 i 값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모순이 발생하게된다. 그렇기 때문에 i 값을 temp라는 값에 임시 저장을 해두고 i의 값을 1 증가시키고 j의 값에는 임시 저장한 temp 값을 주어 해결한다. * Final final class A {
https://dev-with-gpt.tistory.com/88 자바 프로그래밍. 배열 : 나의 목록 관리 시스템 구현 (여러가지 값 입력받기) 오늘 수업은 Scanner를 통해 사용자에게 Data를 입력받고 해당 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았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프로그램 실행 dev-with-gpt.tistory.com 오늘 수업은 지난번 프로그램에 이어서 추가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 수정된 부분 수정된 부분: MAX_SIZE 상수를 final static으로 선언하여 고정된 값을 사용 printTitle 메소드를 추가하여 타이틀을 출력 inputMember 메소드에서 menuNO 변수를 받도록 변경 (Scanner사용) 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