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cafe.naver.com/dokkm/2771933
📢[2023 하반기 예상 채용일정] 은행/공기업/증권/보험 등 총정리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비영리적 목적으로 출처를 명시하고 학습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음을 밝힙니다.
(문제가 될 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하루 3문제] 한국경제공식 TESAT 문제 (2023.07.18)
하루 3문제가 8월 14일 이후로 올라오지 않아서 과거문제를 업로드하겠습니다.
1. 다양한 가격비교 사이트의 등장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한 다음의 보기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A) 소비자로 하여금 보다 손쉽게 가격정보를 탐색할 수 있게 해준다.
(B) 가격정보의 투명성이 증가하여 시장에서의 거래를 보다 원활하게 한다.
(C) 소비자의 탐색비용을 줄여 경쟁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D) 기업이 경쟁 업체의 가격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토록 유도한다.
(E) 가격정보의 투명성이 높아져 기업들의 이윤도 증가한다.
해설
정답 (E)
다양한 가격비교 사이트가 생기면 소비자들이 손쉽게 가격 정보를 탐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격 정보의 투명성이 높아져 경쟁이 촉진된다.
소비자들은 똑같은 제품이라면 가장 낮은 가격에 구매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가격을 마음대로 올릴 수 없고 경쟁 업체가 얼마에 파느냐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다. 기업들은 적정 이윤 수준에서만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기업들의 이윤이 증가한다고 볼 수 없다.
수요자나 공급자가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하는 완전경쟁시장 수준은 아니지만 가격비교 사이트의 등장으로 인해 정보의 비대칭성이 완화될 수 있다. 시장의 효율성도 높아진다.
2. 다른 여건이 동일하다면 다음 거래 중 원화가치의 하락을 유발할 가능성이 낮은 것은?
(A) 선박 수출의 감소
(B) 상품 수입의 증가
(C) 외화차입금 만기 도래분의 증가
(D) 해외 투자자에 대한 현금배당의 증가
(E) 해외 전환사채 만기분 주식 전환의 증가
해설
정답 (E)
외환시장에서 달러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원화가치가 바뀐다.달러 수요가 증가하거나,달러 공급이 감소하면 원화가치가 하락(원·달러 환율 상승)한다.반대로 달러를 찾는 사람이 줄어들거나,달러를 내다파는 사람이 많아지면 원화가치가 상승(환율 하락)한다.
선박 수출이 감소하면 그만큼 해외에서 벌어오는 달러가 줄어들기 때문에 원화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해외에서 상품을 많이 수입할수록 상품 대금을 지급할 달러 수요가 커진다.달러 수요 증가는 원화가치를 하락시킨다.외화차입금의 만기가 되면 빚을 갚을 달러가 필요해진다.이는 원화가치 하락 요인이다.해외 투자자에게 현금배당을 하려면 역시 달러가 많이 필요하고 이에따라 원화가치는 낮아진다.해외 전환사채가 주식으로 전환될 경우에는 달러 수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다음 중 은행의 지급준비율 인상이 될 경우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아닌 것은?
(A) 통화량이 감소한다.
(B) 시중금리가 낮아진다.
(C) 은행들이 유동성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D) 은행들의 대출이 줄어든다.
(E) 은행들의 수익이 감소할 수 있다.
해설
정답 (B)
금융회사가 고객의 예금 인출에 대비해 준비해야 하는 돈을 지급준비금이라고 하며,금융회사의 예금총액에 대한 현금준비 비율을 지급준비율이라고 한다. 한국은행 등 각국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은 조정함으로써 금융회사의 자금 유동성과 시중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중앙은행이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인상하면 은행은 그만큼 더 많은 지급준비금을 보유해야 한다. 따라서 은행이 돈을 더 많이 보유해야 하므로 시중 통화량이 줄어든다. 은행의 대출 여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시중금리가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