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cafe.naver.com/dokkm/2771933
비영리적 목적으로 출처를 명시하고 학습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음을 밝힙니다.
(문제가 될 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하루 3문제] 한국경제공식 TESAT 문제 (2023.07.19)
하루 3문제가 8월 14일 이후로 올라오지 않아서 과거문제를 업로드하겠습니다.
1. 글로벌화(Globalization)가 기업경영에서 갖는 함의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A) 규모의 경제 실현
(B) 범위의 경제 실현
(C) 다국적 기업의 출현
(D) 세계적인 선호의 동질화
(E) 가치사슬(value chain)의 전 세계적 배치
해설
정답 (B)
범위의 경제(economy of scope)는 기업의 다각화(diversification)와 관련된 개념이다. 기업은 기존 사업과 비슷한 사업에 새로 진출하면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한 기업이 2종 이상의 제품을 생산할 경우 각 제품을 다른 기업이 각각 생산할 때보다 평균비용이 적게 드는 것도 범위의 경제의 예다. 연구개발 판매 생산 등은 공동으로 이용하면서 제품의 종류만 달리하면 비용은 적게 들고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는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장기 평균총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글로벌화는 기업활동에서 부가가치가 생성되는 과정인 가치사슬을 전 세계적으로 배치한 다국적 기업이 출현할 수 있는 배경이다. 다국적 기업들은 글로벌화로 선호가 동질화된 세계 시장의 소비자들을 상대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다.
2.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9년 4분기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추계에 따르면 재고 증감(및 귀중품순취득) 항목이 3조7838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항목의 감소는 국민계정상 어떻게 나타나는가?
(A) 수출 감소
(B) 수입 감소
(C) 정부 지출의 감소
(D) 총자본 형성의 감소
(E) 민간 소비 지출의 감소
해설
정답 (D)
국내총생산(GDP)은 소비(C),투자(I),정부지출(G),순수출(X-M) 등 네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네 항목의 합이 GDP이다. 이 가운데 투자는 총자본 형성으로 표시되는데,여기엔 고정자본 형성과 재고의 증감이 포함된다. 다시말해 투자는 총고정자본 형성과 재고증감을 합쳐 계산한다. 재고를 투자에 포함시키는 것은 생산된 제품이 비록 누군가에 팔리지 않았지만 해당 연도 생산활동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재고증감 항목이 줄어든 것은 총자본 형성의 감소로 나타난다. 총고정자본 형성은 기업이 여러 회계년도에 걸쳐 생산에 이용하는 재화인 자본재를 구입하는 것을 가리킨다. 고정자산을 구입할 때 함께 부담한 설치비용이나 취득세 등록세 등의 부대비용도 총고정자본 형성에 포함된다.
3. A국과 B국은 자동차와 옷을 생산하고 있다.이 두 나라가 자동차와 옷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단위 노동 투입량은 다음과 같다. 생산요소가 노동밖에 없다고 보고 다음 <보기> 중 옳은 설명을 고르시오.
A국 B국
자동차 50 40
옷 80 30
< 보기 >
ㄱ. A국은 두 상품에 대해 절대우위를 가지고 있다.
ㄴ. A국은 자동차에 대해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다.
ㄷ. A, B국이 무역을 한다면 B국은 자동차를 수입할 것이다.
ㄹ. A, B국이 무역을 한다면 A국은 두 상품을 모두 수입해야 한다
(A) ㄱ,ㄴ
(B) ㄴ,ㄷ
(C) ㄷ,ㄹ
(D) ㄱ,ㄴ,ㄷ
(E) ㄴ,ㄷ,ㄹ
해설
정답 (B)
비교우위 무역이론에 대한 문제이다. 비교우위론이란 무역을 할 때 생산비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가는 상품에 특화하라는 이론이다. 자국의 생산품 중에서 상대적으로 생산비가 적게 들어가는 상품에 생산요소를 모두 투입하고 다른 상품은 외국에서 수입해 쓰면 무역을 하는 두 나라가 모두 이익을 얻는다는 것이다. 생산비 절대액은 중요하지 않은 셈이다. 보기에서 B국은 자동차 옷 두 상품 모두 투입노동량이 A국보다 적기 때문에 A국에 대해 절대우위를 갖는다.
절대우위론에 의하면 이들 두 나라 사이에는 무역이 일어날 수 없다. 그러나 비교우위론에 의하면 A국은 상대적으로 생산비가 적게 들어가는 자동차에 특화하고 B국은 옷에 특화해 서로 무역을 하게 된다. 특화하지 않을 때보다 비교우위에 있는 상품에 특화해 생산한 후 무역을 하게 되면 더 많은 양의 상품을 소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절대우위론은 애덤스미스,비교우위론은 데이비드 리카도가 주장했다. 리카도는 당시 생산요소로 노동이 유일하다고 보았으나 다른 학자들이 자본을 추가하는 등 현실에 맞게 수정해 비교우위론은 현대 무역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