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습/리눅스

리눅스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계정 만들기 (php,mysql,apache2,DB)

우동한그릇 2023. 5. 2. 21:01
반응형

 

명령어를 입력하는 현재 폴더 경로가 헷갈리시는 경우를 위해서 
명령어 마다 사진을 남겨두었습니다. 경로 확인하시며 진행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는 홈디렉토리에서 이동하는 폴더 경로이고,
./ 는 현재 경로에서 이동하는 폴더경로입니다.

 

★ 리눅스로 워드프레스 계정만들기 

 

● 실행 전 필요한 모든 패키지 설치

apt-get  -y  install  gcc g++ default-jdk mysql-server sqlite3 tomcat9 apache2
apt-get  -y install  php php-curl php-gd php-intl php-mbstring php-soap php-xml \
                      php-xmlrpc php-zip php-mysql

● 계정을 추가하기 전에 사용자 계정 기본설정 해주기

useradd -D -s /bin/bash

useradd -D -s /bin/bash 명령어를 통해서 유저 생성시에 기본 경로를 /bin/bash로 설정

 


● 사용자 계정 생성 시. 기본 홈 디렉토리 생성해주기 

vi /etc/login.defs

CREATE_HOME yes

14번 라인에 'CREATE_HOME yes' 명령어를 추가해주어 , 사용자 계정 생성  시 홈디렉토리를 생성해준다.

 


● gold 사용자 계정 생성

useradd gold
passwd gold

위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사용자계정 골드를 생성하고  암호는 'j'로 설정해준다.

 


● root 계정에서 이어서 mysql 생성

#mysql 
mysql -u root -p
mysql> use  mysql
mysql> alter user root@localhost identified \
    ->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jj';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sec)

mysql> create user mygold@localhost identified \
    ->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j';
#Query OK, 0 rows affected (0.01 sec)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goldDB.* to mygold@localhost;
#Query OK, 0 rows affected (0.01 sec)

mysql> flush privileges;
#Query OK, 0 rows affected (0.05 sec)

create database goldDB;
use goldDB;
show tables;

 

위 명령어에 따라 실행하도록한다. gold 계정에서 로그인하는 mysql을 만드는 과정이다.


● gold 계정에서 mysql 실행

mysql -u gold -p

mysql만 입력할 경우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mysql -u gold -p 명령어를 통해 권한을 갖고 실행하도록 하자. 이제 준비는 끝났으니 다시 root 계정을 실행하도록 하자.

 


● wget 명령어로 워드프레스 6.2 tar.gz 다운받기

wget https://ko.wordpress.org/latest-ko_KR.tar.gz

 


● tar 명령어로 워드프레스 파일 압축풀고 이름 변경

tar xf latest-ko_KR.tar.gz
mv wordpress/ wp

tar 명령어로 압축을 해제하고 wordpress 폴더명을 wp로 변경해줍니다.

 


● wp 폴더에 진입하여 워드프레스 파일 "wp-config.php"로 복사

cd wp/
cp wp-config-sample.php wp-config.php

cd wp/ 명령어로 wp 폴더에 진입한 뒤 wp-config-sample.php 파일을 따로 복사해줍니다.

 


● vi 편집기로 wp-config.php 파일을 만들어둔 mysql 아이디로 내용을 수정

vi wp-config.php
 23 define( 'DB_NAME', 'goldDB' );
 24
 25 /** Database username */
 26 define( 'DB_USER', 'mygold' );
 27
 28 /** Database password */
 29 define( 'DB_PASSWORD', 'j' );
 30

vi 편집기를 실행해서 23번~29번 라인까지 해당 내용으로 변경해줍니다.

23번 라인 : 만들어둔 DB의 이름 -> 'goldDB'

26번 라인 : goldDB의 유저 이름  -> 'mygold'

29번 라인 : DB의 암호 : 'j'

 


● vi 편집기로 vi b.php 파일을 열어서 b.php 파일을 수정

cd .. 
vi b.php

//cd .. 명령어를 통해서 하위 폴더인 root@j:/var/www/html# 로 가기 위해서이다.
<?php
echo (" PHP 확인 <br> ");
phpinfo();
?>

cd.. 명령어를 통해서 '/var/www/html#' 폴더로 이동한 뒤에 'vi.php' 명령어를 통해  vi 편집기를 실행하고

위 코드를 입력해준다. b.php의 vi편집기에서 입력한 내용은  웹서버에 PHP가 설치되어 있다면 PHP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 systemctl restart apache2 명령어를 통해서 변경사항 적용

 


현재 경로인 '/var/www/html#' 에서 'systemctl restart apache2' 명령어를 입력하여
apache2에 적용해주도록 하자.

 


● b.php를 실행시켜보고 워드프레스 회원가입 페이지 이동해보기

 

 

http://127.0.0.1/b.php 실행결과

'

 

 

http://127.0.0.1/wp/wp-admin/install.php 실행결과

 

이렇게 워드프레스 회원가입 창이 뜬다면 성공적으로 실행한 것이다.

오류를 수정해보고 안된다면 패키지를 삭제 후 다시 설치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반응형